건강보험료 계산 해보기✔
- 생활정보
- 2016. 3. 21.
건강보험료 계산 해보기
직장인이든 아니든 간에 가족중에 1명은 꼭 내야하는것이 건강보험료 인데요.
연봉에 비례해서 자동으로 빠져 나가다보니 월급쟁이들한테는 세금처럼 느껴 지기도 합니다.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은 가끔 내 연봉대비 건강보험료가 알아서 빠져 나가는건 아닌지 또는 해마다 건강보험료 인상 소식이 많은데 얼마나 빠져 나가려는지 미리 계산해 보고싶으신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직장, 지역 건강보험료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1.직장인 건강보험료 계산
직장인의 경우는 계산법이 비교적 단순 한데요.
월급에서 일정비율을 떼어가는데 내야 할 금액을 회사가반, 개인이 반 부담하는것이 원칙입니다.
결론적으로는 개인이 내야할 금액은 월 소득액의 4.5퍼센트가 되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서 해당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가운데 '자주찾는 메뉴'라는 항목이 별도로 있는데요.
여기서 ' 4대 사회보험료계산'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 다음 가운데 메뉴인 '국민건강보험료 직장 가입자를 클릭후' 하단에 직장보험료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건강보험료를 되게 되면 장기요양보험도 자동적으로 내야하는데요.
이것도 자동으로 계산을 해준답니다.
월급 200만원을 기준으로 한번 샘을 해봤는데요.
개인이 한달에 내는 금액은 6만5천200원이 되겠네요.
이건 순수월급이 이럴때 기준임으로 기본급+수당-식대같은 세금이 붙지않는 수당을 해야지 정확한결과를 얻을수 있답니다.
대략적인 월급을 기준으로 약간의 오차는 감수를 해야합니다.
2.지역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퇴사를 했거나 자영업을 할경우에는 지역건강보험료로 계산이 되는데요.
이때 아무런 소득이 없더라도 집, 자동차 등 재산이 있다면 이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계산하게 됩니다.
사실 지역의료보험이 참 정책상 어이가 없는것도 같은데 만약 지금버는돈이 하나도 없고 집1억원짜리 1채, 자동차를 아반떼로 가지고 있다고 치면 어떻게 나오는지 한번 계산을 해봤습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지역 가입자'를 누르고 하단의 지역보험료 계산하기를 눌러줍니다.
개인사업을 하고 소득이 있다면 이해가 가는 숫자이지만 월소득 하나없이 집하나 자동차하나있으면 한달에 15만원돈을 내야하는데요. 이거 소득이 없는 사람들은 집 팔아서 보험료를 내야 할 판입니다.
이런 정책은 조금 수정이 필요하지 않나 싶네요.
이상 지역,직장 건강보험료 계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관심있던 분들에게 조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