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계산법 어떻게해요


    4대보험 계산법


    우리가 직장을 다니거나 알바의 경우에도 4대보험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자동으로 공제를 하고 나오기때문에 신경안쓰시는분도 있는데요. 

    꼼꼼하신분들은 지금때고있는게 정확한것인가? 라는 의구심도 들기도 한답니다. 

    작은기업의 경우 아무래도 사람이 하는것이다보니 잘못계산되는 경우도 종종있는데요. 

    아래의 계산법을 보고 한번 두드려 보시는것도 좋을꺼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대보험 계산법에 대해서 한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4대보험이라고 하면 보통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산재보험인데요. 

    전사무직만 해서 그런지 급여명세표상에는 산재보험이라고 따로 땐건 본적이 없는거 같습니다. 

    보통 소득세를 4대보험항목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실꺼에요.ㅎㅎ


    1.국민연금

    2017년 기준으로 동결이되어 근로자 기준으로 4.5퍼센트가 적용됩니다.

    계산법은 세전급여 x 0.045 = 납부할 국민연금 금액


    2.건강보험

    2017년에는 동결이라고 하는대요. 매년 자주오르기 때문에 해마다 요율이 오르고 있답니다. 매년5월인가 조정기간이 있어서 이요율이 오르고 나면 5월에 돈을 많이 떼는 현상도 겪게 되는것이죠. 올해는 3.06퍼센트입니다.

    계산법은 

    세전급여 x 0.0612 / 2 = 건강보험 납부액 

    세전급여 x 0.0612 x 0.0655 /2 = 장기요양보험료


    3.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사업주의 기준에서는 변동이 있는데요. 근로자는 0.65퍼센트입니다.

    계산법은 세전급여액 x 0.0065 = 고용보험료

    입니다.

    이상 4대보험 계산법에 대해서 한번 정리를 해봤는데요. 꼼꼼한 근로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